메뉴 건너뛰기

활동소식

언론보도

Extra Form
Site URL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1953&thread=04r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일까지 장애인 문화, 체육, 탈시설, 노동 등 토론과 발제 이어져
첫 시작으로 스포츠의 장애인의 사회통합 기여 지점 확인

 

 

2018 평창 패럴림픽 국제 컨퍼런스에서 대표단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을 앞두고, 장애인의 진정한 사회 통합을 모색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열렸다.


한국장애포럼(KDF) 주관으로 8일 강원도 롯데리조트속초에서 개최된 이번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국제 컨퍼런스'에서는 △장애인 생활 체육과 관광권 △장애인 문화 △탈시설 △중증장애인 노동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이어져 1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8일 오전에 진행된 개회식에는 정부와 강원도, 국회의원 등의 환영사와 축하인사가 이어졌다. 

 

개회식 직전 장애계와 면담을 갖고 '장애인문화예술체육 TF 구성'에 합의한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장애인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쉽게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전국 어디든 접근성 걱정 없이 마음놓고 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 5년동안 기초를 잘 닦아 놓겠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 기조강연에서는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과제와 스포츠가 가지는 의미를 짚었다. 

 

아키야마 아이코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사회개발 담당관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을 위한 국제적 기준들이 많이, 그리고 구체적으로 만들어져 있다"라며 "그러나 여전히 많은 지표에서 장애인의 기회 불균등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2012년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유엔에스캅 정부간 고위급회의에서 채택된 아태지역 장애인 권리증진을 위한 '인천전략' 이행 현황을 소개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장애인들이 여전히 고용, 입법 과정에의 참여, 정보 접근, 문화생활과 레저 및 스포츠 등 사회 영역 전반에서 불균등한 기회를 갖고 있음을 지적했다. 

 

아키야마 담당관은 "국가들은 언제나 '장애인 접근성을 완비했다'고 하지만 접근성이란 그저 '휠체어 마크'만 달아놓고 화장실에 안전바만 설치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진정한 접근을 위해서는 장애인의 균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사회 전방위적 디자인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키 홉워커 영국 패럴림픽 해리티지 트러스트(National Paralympic Heritage Trust) 프로젝트 매니저는 장애인의 사회 통합에 패럴림픽이 기여하는 점을 소개했다. 홉워커 매니저는 패럴림픽의 창시자신 구트만 박사를 소개하며 "패럴림픽은 처음부터 장애인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 참여를 위해 만들어졌다"라고 밝혔다. 

 

그는 "2012년 런던 패럴림픽 이후 조사한 결과, 영국인의 75%가 패럴림픽 관람 이후 장애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장애인의 70%는 런던 패럴림픽이 장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라며 "패럴림픽은 장애인 인식을 변화시킨 획기적 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패럴림픽 이후 학교 내 장애 학생 체육 참여 프로그램인 'Get Set(겟 셋)' 참여율이 증가했는데, 여기에 참여한 장애 청소년들이 자신의 장애를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홉워커 매니저는 전했다. 

 

홍콩 장애인공동협의회의 베니 청 회장은 홍콩 장애인의 일상적 스포츠 참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소개했다. 2008년 10월 설립된 '모멘텀 아카데미'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기는 '통합스포츠'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곳이다. '통합스포츠'에는 휠체어경주, 스포츠 클라이밍, 핸드 사이클링, 휠체어 댄스 등이 있다. 

 

청 회장은 "모멘텀 아카데미 프로그램 참가자는 첫 설립 당시 약 4천여 명에서 2017년 3월 약 2만여 명으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라고 전했다. 그는 "처음에는 비장애인이 80% 가량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장애인 참가자 비율이 꾸준히 높아져 현재는 장애인 참가자가 약 1천여 명 가량 더 많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장애인 생활 체육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확인한 홍콩 정부는 2016년, '홍콩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는 장애인 학생 및 교사, 장애인 체육 선수 및 전문 강사 등에 대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영국 인클루시브 피트니스 이니셔티브(IFI)에서 제시하는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요건 참조', '장애인용 체육시설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제작', '학교 체육시설 장애인에게 개방' 등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조언이 제시되었다. 

 

 

왼쪽부터 아이코 아키야마 담당관, 비키 홉워커 매니저, 베니 청 회장.

왼쪽부터 아이코 아키야마 담당관, 비키 홉워커 매니저, 베니 청 회장.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는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진행되어온 한국 장애계 투쟁의 역사를 소개했다. 박 공동대표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 장애인 차별금지법, 특수교육법, 활동지원법, 발달장애인법 등은 모두 국회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투쟁의 결과물이었다"라며 "우리가 걸어온 길이 곧 역사가 되어온 발자취"라고 평가했다. 

 

박 공동대표는 "1988년 '서울 장애자올림픽'을 기점으로 '심신장애자복지법' 개정 투쟁이 본격화되었다. 그리고 꼭 30년 후, 우리에게는 또다시 평창 패럴림픽이 놓여있다"라며 "평창 패럴림픽이 그저 엘리트 스포츠 경기에 박수만 치는 행사가 아니라,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통합을 향해 걸어가는 역사의 또다른 발자취가 될 수 있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컨퍼런스 참가자들이 발제를 듣고 있는 모습

컨퍼런스 참가자들이 발제를 듣고 있는 모습

 

 

the source of news:비마이너 2018.3.8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1953&thread=04r01)

 

 

 

 


  1. No Image

    장애포괄적 SDGs 전문가 양성 워크숍

    장애포괄적 SDGs 전문가양성 국제 워크숍 International Workshop on Disability-Inclusive SDGs     2019. 11. 4. ~ 6 이룸센터 교육실 2                    
    Read More
  2. 2019 평창장애포럼, 2월 11~1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

    2019 평창장애포럼이 2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2층)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한국장애포럼(KDF)은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세상, 포용적인 우리 사회를 만들기 위해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이...
    Read More
  3. 한국장애포럼, 인천전략 및 장애포괄적 SDGs 이행 위한 국제세미나 개최

    한국장애포럼이 오는 29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1박 2일 인천전략 및 장애포괄적 SDGs 이행을 위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인천전략과 유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연계를 통해 장애인권 증진 및 장애 포괄적 사회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
    Read More
  4. 정부, "유엔 강제실종보호협약 비준하겠다" …형제복지원 진상규명 기대감 높아져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수용 입장 밝혀, KDF "환영" 지난해 9월,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광화문에서 청와대로 행진하는 형제복지원 국토대장정팀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가 권고한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
    Read More
  5. 장애인문화예술은 사회의 정상적 규범에 질문을 던져야

    평창동계패럴픽 국제컨퍼런스, 두 번째 세션 '장애인 문화와 권리' 토론 "정부의 장애인 예술 정책, 보편적 예술정책과 결합하고 주류화되어야" 두 번째 세션인 '장애인 문화와 권리'에 대해 말하고 있는 발표자들 장애인이 만드는 문화예술은...
    Read More
  6. 막 오른 ‘평창 패럴림픽 국제 컨퍼런스’, 장애인 사회통합 다방면 모색한다

    10일까지 장애인 문화, 체육, 탈시설, 노동 등 토론과 발제 이어져 첫 시작으로 스포츠의 장애인의 사회통합 기여 지점 확인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을 앞두고, 장애인의 진정한 사회 통합을 모색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열렸다. 한국장애포럼(KDF) 주관으로 8...
    Read More
  7. 한국장애포럼, 외교부 등록 법인으로 출범

    19일 이룸센터에서 출범식 열어 국내 25개 장애인단체가 모여 국제적인 장애인 인권 활동을 해온 한국장애포럼이 외교부 등록 사단법인 출범식을 19일 오후 4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연다. 한국장애포럼은 지난 2012년 8월 출범해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의 ...
    Read More
  8. 장애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기여한 강경화, 장관 자격 있다

    2006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고등판무관으로서 협약 통과 지지 7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장에서 강 후보자가 선서하는 모습. (JTBC 화면 캡쳐)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 후보로 지명된 강경화 후보자가 최근 야당의 강한 반대에 직면...
    Read More
  9. 국가인권위원회, '유엔장애인 권리협약이행 국제심포지움' 개최

    '사람을 품다' , '인권을 담다'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이성호)는 설립15주년을 맞이하여 오는 29일(수) 글래드호텔 지하1층 Bloom홀에서 '유엔장애인 권리협약이행강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국가인권위원...
    Read More
  10. 인천전략 CSO 워킹그룹 대표, 제4차 회의에서 한목소리

    정부와 민간차원의 인천전략 이행 설문평가, 전체 공개하기로 아태장애포럼(APDF, 대표 변경택)과 아태장애인재활협회(RIAP, 의장 이예자) 대표 및 국내외 회원단체 관계자들이 3월 1일부터 2일까지 UNESCAP에서 열린 ‘제4차 인천전략워킹그룹회의&rsquo...
    Read More
  11. 국제 장애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실효적 이행 촉구

    당사국 역할, 국내외 협력 강조한 9개 항목 권고문 발표 국내외 장애계 단체들이 공동으로 유엔장애인권리협약(UN CRPD)의 실효적 이행을 촉구하며 각 당사국들에 권고안을 제시했다. 아시아태평양장애인포럼(APDF), 한국장애포럼(KDF), 전국장애인부모연대와 ...
    Read More
  12. 지진피해 네팔 장애인에게 다시 힘을 주세요!

    한국장애포럼, 네팔 장애인 위한 2차 모금 진행 재난 복구 지원 및 식량·의료 물품 제공 예정 한국장애포럼이 지진 피해를 겪은 네팔 장애인을 위한 2차 모금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4월 25일 네팔에서 발생한 대지진은 8400명 이상 사망하고 1...
    Read More
  13. 네팔 대지진 피해 장애인에게 희망의 손을!

    한국장애포럼, 네이버 해피빈 통해 네팔 장애인 후원 모금 "장애인들이 구호활동에서 조차 소외되지 않도록" 지난 4월 25일 발생한 네팔 대지진으로 사망자 5200여 명, 중상자 1만여 명이 발생하는 등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고, 피해 규모는 점점 늘어가고 있는...
    Read More
  14. 한국장애포럼 2대 상임대표, 안중원 회장 선출

    “장애인권리협약 등 이행 위해 아태장애포럼과 협력할 것” 한국장애포럼(KDF) 2대 상임대표로 한국장애인문화협회 안중원 회장이 선출됐다. 한국장애포럼은 지난 26일 정기총회에서 한국장애인문화협회의 안중원 회장이 만장일치로 제2대 상임대표...
    Read More
  15. 2014년, ‘최초의 것’들 모음

    [2014년 결산⑥] 올해 있었던 수많은 '첫 발걸음'들은?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 최종 견해, 발달장애인법 제정 등 2014년이 간다. 오늘 뜨는 해가 내일 아침에도 뜨는, 그런 지극히 평범한 오늘과 내일일 수도 있는데 2014년에서 2015년으로 해가 바뀐다...
    Read More
  16. “한국 장애인정책 국제적 망신, 유엔 권고 수용해야”

    장애인계·국회의원,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권고 이행 촉구 권고사항 이행 위한 전담 기구 설치도 요구 한국의 유엔 장애인권리협약(UN CRP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이행 상황에 대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권고...
    Read More
  17.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대한 KDF 민간보고서 제출

    전국장애인부모연대가 오는 17일~18일에 진행될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대한민국 정부보고 심의를 위한 ‘한국장애포럼(KDF)민간보고서’를 제출했다고 12일 밝혔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는 한국장애포럼 아래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위원회를 설치&mi...
    Read More
  18. 장애인권리협약 정부보고서, ‘문제투성이’

    한국장애포럼, 민간보고서 제출 통해 정부보고서 비판 “장애인단체 의견 수렴 없던 점 우려스러워” 유엔장애인권리협약(UN CRP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이행에 대한 정부보고서가 ‘문제투성이’...
    Read More
  19. 장애인권리협약 민간보고서, “‘선택과 집중’ 필요해”

    한국장애포럼,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민간보고서 공청회 열어 “통계와 사례 제시 통해 정부보고서 오류 지적해야” 지난 2008년 12월 유엔장애인권리협약(UN CRP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을 비준한 우리나라는 ...
    Read More
  20. 인천전략 ‘지지부진’, 총리실 산하 전담기구 시급

    인천전략 이행을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지적 복지부도 “부처 간 이해 조정 쉽지 않아, 총리실 산하기구 동의” 제3차 아시아태평양장애인 10년(2013~2022)을 위한 ‘인천전략’에 대한 우리 정부 추진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